랜더링파이프라인의 정의

Programming/DirectX|2016. 10. 31. 20:37
반응형

랜더링 파이프라인(Rendering Pipeline)


3D프로그래밍의 핵심기술~

오늘은 랜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 랜더링 파이프 라인이란?

: 기하학적으로 3D장면을 구성하고 가상카메라를 설정한 뒤 모니터에 2D로 만들어내는 과정.


무슨 말인가 하면 우리들이 쓰는 컴퓨터의 모니터는 2D이다.

근데 3D게임을 하려면 x, y(가로, 세로)랑 또 하나의 축 z가 필요하다.(앞, 뒤의 개념)


모니터에(2D) 표현되는 3D게임

a는 앞에 있고 b는 뒤에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속 안쪽으로 가면 갈수록 z축이 커진다고 하자.

a캐릭터 z위치값은 0.1이고 b캐릭터의 z값은 0.5라고 하면 a캐릭터의 크기는 모니터에서 크게 그려야 되고 b캐릭터는 작게 그리면 된다.

그래야 원근법이 적용되어 3D처럼 보이기 때문에(가까이 있는건 크게, 멀리 있는 건 작게)

그 외에도 회전값도 적용되는데 그거는 랜더링 파이프라인의 뷰스페이스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굵은 사각형은 표현되는 2D모니터.

안에는 소실점을 넣어 3D연산을 해서 2D화면으로 보이게 한다.



윈도우나 directx에서는 클라이언트 왼쪽탑이 0, 0이고 y값은 아래로 갈수록 커지므로 a캐릭터의 위치값은 (0.2, 0.3, 0.1)이 된다.

b캐릭터의 위치값은 x는 더 커지고 y는 비슷 z의 값은 더 커진다.(뒤에 있으므로)

그럼 이 위치값을 가지고 화면(2D)에 크기를 조절해서 3D처럼 뿌려주는 것을 랜더링 파이프라인이라고 한다.

물론 이 위치값과 나중에 배울 카메라의 위치값과 회전값도 있긴하지만 이런식으로 돌아간다는 것만 알아두어도 될것같다.



정리

랜더링 파이프라인

3D좌표계에 있는 오브젝트나 맵, 캐릭터 등을 2D화면에 변환시켜(원근감 적용시킨) 뿌리는 것.

반응형

댓글()